본문 바로가기

궁금증 풀이

칠석에 만나는 견우와 직녀

칠석에 볼 수 있는 은하수

칠석은 고유 명절 중 하나로 음력 7월 7월을 일컫습니다. 이날은 견우와 직녀가 일 년에 한번 은하수를 건너 만나는 설화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그래서 견우와 직녀를 시제로 시 짓기와 바느질 솜씨 향상을 위해 직녀성에 기원하기, 다양한 칠석고사, 오작교를 만드느라 고생한 까치에게 보답하는 까치밥주기와 같은 풍습이 행해졌습니다. '까마귀도 칠월 칠석은 안 잊어버린다'라는 속담을 통해 중요한 일은 잊지 말아야 함을 우리에게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칠석의 유래

칠석은 음력 7월 7일에 기념하는 고유 명절 중 하나입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칠성날, 꼼비기날, 호미걸이 등이 있습니다. 칠석의 유래는 고대 중국의 전설에 기반을 둔 견우직녀 설화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음력 7월이 되면 하늘에 은하수가 보이고 동쪽에는 직녀성이, 서쪽에는 견우성이 빛을 발하며 가까워지는 자연 현상으로 인해 두 별이 만나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견우직녀설화

하늘을 다스리는 옥황상제에게 어진 손녀인 직녀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하늘나라 저편에는 착하고 부지런한 목동인 견우가 살고 있었는데, 옥황상제는 이런 견우를 직녀와 짝지어주기로 하고 둘을 결혼시키게 됩니다. 그런데 견우와 직녀는 결혼 후 자신의 일을 게을리하게 되면서 그 영향으로 땅의 백성들이 굶주리고 고통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에 분노한 옥황상제는 이 둘을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멀리 떨어뜨려놓았습니다. 견우와 직녀는 만날 수 없는 상황에 애를 태우게 되고, 이를 안타깝게 여긴 까마귀와 까치들이 칠석날에 만날 수 있도록 하늘에 다리를 만들어줍니다. 이때 만들어진 다리를 오작교라 합니다. 자신들을 희생해 다리를 만든 까마귀와 까치들은 모두 머리가 벗겨져있게 됩니다.

칠석의 풍속

1. 민간에서의 모습

선비와 학생들은 별을 보며 견우와 직녀를 시의 주제로 삼아 시를 짓거나 책장에 묵혀있던 책들을 햇볕에 말려 곰팡이가 끼지 않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아녀자들은 직녀성에 바느질을 잘할 수 있도록 기원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과일을 상에 올려 빌기도 하고, 장독대의 정화수 위에 재를 담은 평평한 쟁반을 올려놓고 빌기도 했습니다. 다음날 재 위에 작은 흔적이 남아있으면 소원을 들어준 것이라 여겼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칠석고사라 하여 조상신이나 가택신에게 집안의 평안을 기원하거나 불공을 드리러 절에 가기도 하며, 무당을 통해 굿을 하는 등 다양한 의례가 이루어졌습니다.

2. 까치밥주기

칠월 칠석에 까치들이 오작교를 놓는 데 고생을 하면서 머리털이 벗겨지게 됩니다. 이에 대한 고마움을 표시하기 위해 까치밥을 주는 풍습이 민간에서 이어져 내려왔습니다. 집에서 칠석고사를 지내고 난 후에 음식들을 담장이나 마당 등에 조금씩 떼어 두거나 대문 바깥에 음식을 차려놓기도 합니다.

칠석과 관련된 속담

'까마귀도 칠월 칠석은 안 잊어버린다'라는 속담은 견우직녀의 설화에서 까마귀가 오작교를 만드는 것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보통 '까먹다'와 발음이 비슷해서 까마귀를 지능이 낮다 생각하지만 실제로 까마귀는 지능이 매우 높은 동물 중 하나입니다. 까마귀조차도 칠월 칠석을 잊지 않는다는 속담을 통해 우리 인간도 중요한 일을 까먹지 말아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반응형